2010년 11월 12일 금요일

적립식펀드에왜가입하라는걸까요[펀드]

적립식펀드에왜가입하라는걸까요[펀드]

안정성있는 인덱스 펀드는 없다고 일단 말해드리고 싶네요.

펀드라는게 채권형 펀드 정도가 아니면 안정성이 있는 펀드란 찾기가 어려울 뿐더러
안정성있는 펀드에 투자할 바에야 차라리 은행 적금을 드는게 나을 겁니다.

안정성을 추구한다면 펀드 고유의 특성이 별로 없다고 봐도 되기 때문입니다.

high risk high return 이란 말이 있죠

위험성이 높은 곳이 수익률도 높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 당연히 손실을 입는다면 피해도 클수 있구요.

예를 들자면 미국 국채에 투자를 한다고 합시다. 미국 국채는 AAA 채권이니까 손실을 입을 확률을 제로라고 
보시면 됩니다. 미국 국채는 risk-free bond 로 분류됩니다. 무위험 채권이죠. 
위험이 적은 만큼 수익도 작습니다.  안정성을 추구하는 분이라면 트리플 A 채권이나 은행 예금등이
가장 좋은 방법이죠.

하지만 최근 금융난으로 초저금리 기조를 이어가고 있는 상황에서
은행 예금을 넣는다면 물가상승률을 뺀 실질 이자로 계산해봤을때 이자는 커녕 오히려 손해를 보는 상황마저 생길수 있습니다. 한마디로 요즘 은행 이자에 예금을 넣는 것은 그냥 돈을 땅에 묻는 거라고 할수있죠.

그에반해 직접하는 주식투자는 위험도가 훨씬 높은 만큼 수익률 또는 손해도 크겠죠 당연히.

직접투자를 하기에는 개인투자자들의 자금 규모나 정보력이 너무 부족하기 때문에
펀드를 드는 것이고 그럼 기관에서는 님이나 다른 사람들한테 펀드를 통해 투자받은 돈으로
투자를 합니다. 주식형 펀드라면 그 자금의 대부분을 주식에 투자할것이고
채권형 펀드라면 대부분을 채권에 투자하겠죠.

저는 작년에 적립식 펀드를 들었습니다. 코스피 200 인덱스 펀드였는데
수익률이 약 16% 정도가 났습니다. 
제 동생은 삼성 그룹주 펀드에 넣었는데 그 펀드도 15% 정도 수익이 났습니다.
최근에 코스피 1800을 넘기고 나서 그 펀드 환매하고
다른 코스피 200 지수 펀드를 들었는데 조금 다른 유형이였습니다.

같은 코스피 200 지수 펀드라도 종류도 엄청 많습니다.
그건 판매사에 가서 전문 상담원이랑 상담을 받아보세요.

저는 개인적으로 위험선호형 투자자라 다소 위험하더라도 
안정적인 예금이나 채권투자 보다는 주식형 펀드에 투자하는걸 좋아합니다.

삼성 그룹주 펀드 같은 경우도 자금의 많은 부분을 삼성전자, 삼성전기, 삼성 중공업 등등
삼성 계열사에 투자 하기때문에 글로벌 기업 삼성의 행보를 볼때 망하거나 큰 손실을 
입지 않을 것으로 보입니다. 안정성이 있으면서도 수익도 괜찮게 나는 상품이 아닌가 생각되네요.

개인적으로 외국 특히 신흥국 (중국 또는 브라질 인도 등) 에 투자하는 상품에는 가입을 하지말라고
조언하고 싶네요. 님이 그 나라의 정세를 잘 모를 뿐더러 변동성도 강하기 때문이죠.

실제 재작년 미국 부동산 시장 대폭락때 미국시장에 투자한 펀드들이 완전 아작 났잤아요.
그때 아무것도 모르고 돈 잃은 펀드투자자들은 영문도 모른채 전재산을 탕진하게 됐습니다.

지금 제가 들고 있는 코스피 200 지수 펀드로 초고위험 펀드로 분류되있습니다.

저 개인적으로는 아직 올라갈 여지가 있다고 보고 
특히 월 30 적립식이면 돈이 어느정도 모여야 이득이든 손해든 나기 때문에
1, 2년 모이기 전까지는 별로 변동성이 없다고 보고 길게보고 투자중입니다.
더블딥이 내년에 설사 온다해도 계속 투자할 생각입니다.

님도 님이 추구하는 투자가 안정성 우선인지 수익률 우선인지 생각해보고 투자하길 권유드립니다.





      
   
     펀드 인기 전문가추천

    펀드 랭킹 국내 1위 / 펀드 최고의 전문가들이 선정한 사이트 입니다.



펀드

적립식펀드에 왜 가입하라는걸까요?□↓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