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0년 11월 5일 금요일

관광관련 용어의 약자와 해설

ABC (Asiana Bonus Card) - 아시아나항공 상용고객 우대제도
Actual Flying Time - 실제 비행시간.
AD (Agent Discounted Fare : 대리점 할인운임)
여행대리점의 사원이 연수를 목적으로 항공여행을 하고자 할 때, 각 항공사가 IATA인가 대리점의 한 점포에 대하여 연간 2회에 걸쳐서 통상운임의 75%를 할인한 항공권을 발행해 주고 있으며, 발행된 항공권의 유효기간은 3개월 간이다.
Adult Fare - 만 12세 이상 관광자에게 적용되는 항공요금.
Add-on - 다른 상품의 구매로 여행이나 크루즈, 항공요금 등에 부과되는 비용
ADT Fare (Adult Fare) - 성인. 만 12세 이상일 경우 전 부문에 걸쳐 성인 요금적용
Agency Commision - 대리점이 판매한 관광자의 항공권이나 화물의 판매에 대하여 지불되는 IATA 소정의 수수료.
Agent - 여행업계에서는 일반적으로 여행업자(Travel Agent) 또는 IATA 공인대리점 (Approval Agent) 의미로 사용되고 있다.
한편 이러한 대리점들이 항공권을 판매한 대가로 항공사로부터 지불 받은 수수료가 Agent Commission이다.
Airline Code - IATA에서 지정된 각 항공사별 Two Letter Alphabet Code 항공회사를 나타내는 문자를 말한다.
Airline Sticker - 항공예약을 변경할 경우에 항공권에 변경내용의 새로운 사항을 기재하여 첨부하는 딱지표.
Airport Code - 전 세계 공항명을 알파벳 세글자로 약호화 한 것.
Air Tax (Airport Tax) - 국가에 따라서는 airport embarkation tax, airport service charge라고도 호칭된다.
American Breakfast - 미국식 아침식사(유럽식 식사+계란 추가)
American Plan - AP라고도 약해서 사용되기도 하는 이것은 호텔숙박요금 형식의 일종인데, 숙박료에 매일 2식이 포함되는 경우를 말한다. 식사는 통상적으로 tableof hotel 또는 full pension이다.
APEX Fare (Advanced Purchased Fare) - 뜻 그대로 사전구입회유운임이다. 이 운임은 해외에서 체제일수가 보통 25일에서 45일까지(항공사 차이가 있음) 사이에 이르는 비교적 장기간 해외여행을 하는 개인여객에게 판매되는 할인 운임으로서 보통 운임보다 약 35% 정도 저렴한 수준의 항공운임이다.
ATM (Automated Ticket Machine) - 자동발권기
ATR (Air Ticket Request) 대리점 - 여객 대리점중 담보능력의 부족으로 항공권을 자체적으로 보유하지 못하고, 승객으로부터 요청받은 항공권을 해당 항공사 발권 COUNTER에서 구입하는 대리점을 말한다
Attendant - 동반자
Auth - 여행사 카운터나 영업부 직원이 항공사 직원에게 항공요금 승인을 받는 경우.
B&B (Bed and Breakfast) - 객실료와 영국식 또는 콘티넨탈 아침식사(English or Continental
Breakfast)를 제공하여 호텔 숙박료를 계산하는 제도. 이는 영국과 유럽전역에서 통용되고 있다.
Baggage Check - 항공권의 일부로서 여객이 예탁수화물의 운송을 약속하고, 그 여객의 수화물에 대하여 항공회사가 발행하는 수하물증을 말한다.
Baggage Claim Tag - 수탁수화물의 식별은 용이하게 하기 위해 항공회사가 발행하는 증표를 말하는 것으로 수화물에 붙어 있는 물표와 교환하도록 만든 꼬리표.
Block - 호텔의 객실과 항공기의 좌석 등을 한꺼번에 예약하여 확보해 두는 것을 말함.
Boarding Pass - 탑승권. 공항에서 탑승 수속시 항공권과 교환하여 관광자에게 주는 탑승표로써 비행기 편명, 관광자 성명, 좌석번호, 목적지, 탑승시간, 탑승게이트 등이 적혀 있다.
Boarding Time - 항공기 출발 시간전 승객이 기내에 탑승 할 수 있는 시간. 항공편 예약 승객은 이 시간 이전까지 각 항공사 카운터에서 항공권을 탑승권과 교체 후 C.I.Q를 통과하여야 한다.
Brochure- 인쇄홍보물
BSP (Bank Settlement Plan) - 항공사와 여객 대리점간의 업무 간편화를 위해 도입된 제도로 다수의 항공사와 다수의 대리점 사이에 은행이 개입하여 중립적인 항공권 양식 배포, 판매대금 및 판매 수수료의 결제 등의 업무를 담당하는 제도다.
Cabotage - 한 국가영토(연안)내의 상업적인 운송규제를 말함. 원칙적으로 타국항공사는 타국가내에서의 국내 구간에서만의 운송이 금지되고 있다.
Cancellation Charge (취소료) - 항공사에 예약된 좌석을 이용하지 않거나 또는 호텔의 예약된 객실을 예정대로 고객이 사용하지 않는 것에 대하여 부과는 요금을 말한다.
Carrier - 항공회사
CHD Fare (Child Fare) - 소아운임. 만 2세 이상 12세 미만의 여행자에게 적용되는 항공요금으로서
성인요금(Adult Fare)의 50% 수준이다
City Code - 전 세계 각국 도시를 알파벳 3자로 약호화 한 것 . C.I.Q (Customs, Immigration, Quarantine : 세관, 출입국 심사, 검역)출국 또는 입국시에 공항에서 관할 관서가 행하는 제반 수속절차를 말한다.
CNCL (Cancel) - 이미 예약된 항공좌석과 호텔객실 등을 취소할 때 사용된다
Coach - 항공기의 여행자 클래스(할인된 요금)를 의미하기도 하고 전세버스를 지칭하기도 함.
Code-Sharing Agreement - 특별한 항공기에 동일한 이름과 carrier code를 사용 하도록 한 두 항공사 사이의 협약
Combination Fare (합성운임) - 항공운임이 항상 단일구간에 대한 운임으로 표시되어 있지 않으므로 해서 복수 이상의 운임을 결합하여 작성하는 운임을 일컫는다.
COMM (Commission) - 여행상품을 타 여행사가 판매한 판매액에 대해 일정률의 금액을 지불하는 것을 말하는데, 이 금액은 판매대상에 따라 상이할 뿐만 아니라 적용률도 변동적이다.
COMP (Complimentary) - 무료로 제공되는 호텔객실 등이 예.
Complaint - 판매한 여행상품에 대해 불편하거나 일정상에 차질이 생겨 손님이 회사에 항의하는 행위.
Confirm!ation Slip - 호텔이나 지상수배에 대한 예약확인서.
Connection Traffic - 한 항공기 편으로부터 여정이나 노선상의 중간지점에서 내려 동일 항공사나 타 항공사의 다른 항공기편으로 갈아타고 계속 여행하게 되는 여객이나 운송되는 화물을 말한다.
Connection Time - 어떠한 지점에 도착한 항공기에서 연결 항공편으로 갈아타는 데 필요한 시간.
Continental Breakfast - 유럽식 아침식사(커피, 빵, 우유 등 간단한 식사).
CPN (Coupon) -
Agent Coupon : 여행사 보관용.
Flight Coupon : Boarding Pass와 바꾸는 TKT.
Passenger Coupon : 승객의 영수증명.
Credit Card Charge Form - CCCF라는 약자로도 사용되는 이것은 지불수단이 발권 항공회사가 인정하는 Credit Sales 에 의하여 발권하는 경우에 사용된다.
CRT(Cathode Ray Tube) - 컴퓨터에 연결되어 있는 전산장비의 일종으로 TV와 같은 화면과 타자판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Main Computer에 저장되어 있는 정보를 즉시 Display해 보거나 필요시 In-put도 할 수 있다
Cruise - 이것은 정기 노선을 가지고 있지 않은 선박회사나 여행업자가 포괄요금으로 여행자들을 모집하여 운항하는 호화스러운 여객선을 말하는데, 이것은 카리브해를 중심으로 매우 번창하고 있다.
DATO (Do All Possible) - 항공좌석의 확보가 어려울 때 여행사가 항공사에 최선의 노력을 다해서 좌석을 확보해 달라고 요청할 때 사용된다.
DEBIT
항공권 발권을 잘못하였을 경우 해당 항공사에서 여행사로 ADM(Agent Debit Memo)를 발송함.
Declare Custom 세관신고서.
Delation Of Indemnity (Letter Of Indemnity)
동반자 없는 소아 관광자, 환자, 기타 면책사항에 관한 항공회사에 만일의 경우에도 책임을 묻지 않는다는 요지를 기입한 보증서를 말한다.
Deposit (공탁금, 예치금)
항공사가 여행사에 항공권을 배포하는 경우에는 매상금지연납입과 같은 문제에 미 리 대비하기 위하여 일정금액을 보증금으로서 예치하도록 요청하고 있다.
Destination (목적지)
관광여행의 최종목적지가 되거나 또는 관광여행의 완료지점을 일컫는 것으로서 왕복 또는 순회 여행인 경우에는 목적지와 출발지는 동일한 지점이다.
Deposit Reservation
호텔예약시 객실사용 일수에 구분 없이 적어도 하루 객실요금을 미리 받아두는 예약 제도를 말하는 것으로서, 이 때는 고객이 늦게 도착하더라도 1일 사용 분의 객실은 남겨 놓아야 한다.
Domestic Travel
모두 국내, 외 2개 지점간에 걸쳐서 여행을 하는 것으로 출발지, 도착지 그리고 경유지가 모두 동일한 국내에 한하는 여행을 말한다. 여행의 국내구간이라고 한다면 이는 국내여행의 부문이라고 이해하여도 무방하다.
Double Booking (이중예약)
동일한 여객이 동일노선 1회의 여행에 대하여 두 번 이상 중복하여 예약을 하거나, 또는 동일한 투숙객이 객실을 2회 이상 동일한 호텔에 대하여 예약을 하는 경우에 해당되는 용어.
DSR (Daily Sales Report)
항공권 판매에 관한 일일 판매 보고서.
DUPE (Duplicated Booking)
동일한 여객이 특정한 항공편에 2중으로 예약되어 있거나, 또는 상이한 항공편에 각각 동일한 여객의 이름이 예약되어 있을 때 사용된다.
E/D Card (Embarkation Disembarkation)
출입국 신고카드. 해외여행자가 출입국시에 자신의 신분에 대하여 자세히 기입한 후 이를 공항이나 항구에 소재한 출입국 관리사무소에 제출하는 출입국 신고서임.
Endorsement
항공회사간에 항공권의 권리를 양도하기 위한 것으로서 항공권의 지정된 탑승구간을 다른 항공사로 옮기는 것.
Entry Visa
입국사증. 보통 비자라고 호칭되고 있는 이것은 나라에 따라서는 출국사중(exit visa)의 취득을 요청하는 경우도 있으므로 이를 구분하기 위하여 입국사증이라는 용어가 사용된다.
Escort
Tour Guide 또는 Tour Conductor라고도 함.
관광 그룹에게 여행과 이용시설을 지원하기 위해 동행하는 사람.
ETA (Estimated Time of Arrival)
도착예정시간.
ETD (Estimated Time of Departure)
출발예정시간. 운송기관이 발행하는 시간표(time table)에 표시되어 있는 출발시각은 모두 ETD로 표시되어 있으며, 도착시각도 ETA(Estimated Time of Arrival)에 의거하여 기록되어 있다.
이에 대해서 실제 항공기의 출발시각을 ATD(Actual Time of Departure)라고 하며 실제의 도착 시각은 ATA(Actual Time of Arrival)라고 부른다.
Eurail Pass
지정된 기간동안 Eurail Trains으로 무제한의 철도여행을 할 수 있는 표.
European Plan
숙박요금제도의 하나로서 식사가 따르지 않는 객실료만 계산하는 제도이다. 흔히 EP라고 한다.
Excess Baggage
초과수화물. 이는 무료수화물 허용량(free baggage allowance)을 초과하는 수화물을 지칭할 때 사용되며, 초과된 수에 대해 여객이 운송기관에 지불하는 요금을 초과 수화물운임이라고 한다.
Excursion Fare
보통의 항공운임보다 저렴한 조건에서 항공여행을 할 수 있는 방법의 하나로 개발된 항공운임인데, 여기에는 항공권의 유효기간과 행선지 등이 한정되는 조건이 많이 따른다. 이 항공권은 항공권의 유효기간을 단기간으로  제한하고 또 일정한 구간의 여정으로 한정하는 대신에 아주 저렴한 운임으로 고객에게 제시하는 판매촉진용 운임의 일종이다.
Extra Section/Flight
정기적으로 운항되지 않고 필요시마다 설정, 운항되는 부정기항로나 편을 말한다.
Fam Tour (Familiarization Tour)
여행전문가들이나 대리점의 관계자들에게 판매인의 상품과 서비스를 친숙하게 하고, 판매를 증진시키기 위해 제공하는 패키지 여행.
Family Plan
어린이를 동반한 부부손님에 대하여 추가요금을 적용하지 않는 특별객실요금.
Ferry Flight
항공기를 운용하기 위해서 또는 기체를 정비기지로부터 이동하기 위해 기지로 항공기를 회항시키기 위한 비행편을 말한다.
FIT (Foreign Independent Travel)
항공요금과 숙박시설과 같이 두 개 또는 그 이상의 요소들이 포함된 패키지 여행. 본래는 외국을 혼자 여행하는 것을 일컫는 말
FOC (Free Of Charge)
무료
FTBS (Frequent Traveller Bonus System)
대한항공 상용고객 우대제도.
Go Show
예약을 하지않았거나 또는 예약이 확인되지 않은 여행자가 여행출발 당일에 직접 공항에 나가서 대기 중 예약이 확약된 고객이 여행예정을 변경해서 출발시까지 예약을 취소하거나 또는 출발시간이 되어도 탑승수속을 하지 않는 노 쇼우 여행자가 발생하여 이때 남는 좌석을 배정받아 항공여행을 하는 것을 뜻하는데, 이때 공항에서 대기하는 여행자를 go show passenger 또는 standby passenger라고 한다.
GSA (General Sales Agent)
총판매대리점. 항공사가 해외의 항공시장에서 지점이나 영업소를 개설하여 판매활동을 적극적으로 전개하기 힘들다고 판단될 때, 다른 항공회사나 여행사 등과 같은 기업들을 총판매대리점으로 지정하여 해당국가 또는 해당 지역내에서 대리점을 감독하고 홍보 및 선전 활동을 전개하도록 하는 한편, 당해국 정부와의 교섭창구로 활용하는 경우가 흔히 있다.
GTO (Government Tourist Office)
정부관광기구
GTR (Government Transportation Request)
정부 및 산하단체가 항공사와 특별 계약을 맺어 특별요금을 적용시키는 것으로 이때 여행사는 끼어들 수 없음.
GV
GIT(Group Inclusive Tour)운임을 적용하는 경우에 항공권 면에 표시하는 코드인데, 만약 GV25라고 한다면 이는 25명을 최대 필요인원으로 하는 GIT운임을 뜻한다.
Hand Carry Baggage
출국 수속시 부치지 않고 기내에 여행객이 가지고 탑승할 수 있는 수화물 제한이 있으므로 반드시 탑승수속시 카운터 직원에게 문의하는 것이 좋음.
Holding (HLDG)
현 상태를 진전 없이 그대로 유지할 때.
Immigration
법무부. 여행자의 출입국 관리를 총괄적으로 담당하는 정부 기관임.
Inbound
외국인의 국내여행을 알선하는 것을 의미한다. 반대로 한국인의 해외여행을 맡아보는 일을 Outbound라고 한다
Incentive Group Charter
챠터 계약자가 보상여행과 판매촉진을 위하여 챠터의 케이스로 이 때에는 One  Use Charter의 형태를 갖는다.
Incentive Travel
회사가 성과에 대한 격려의 의미로 직원에게 제공하는 패키지 여행.
Infant Fare
유아운임. IATA규정에는 2세 미만의 유아에게 적용되는 운임으로 성인요금의 10% 수준에서 결정된다.
ITN (Internet Travel Network)
인터넷 여행망.
Land Arrangement
관광여행자들이 외국의 여행목적지에 도착하여 그 나라를 떠날 때까지 tour operator에 의해서 제공된는 모든 서비스를 의미한다.
Land Operator
일반적으로 현지 제반수배사항 대행 여행사를 통칭하며, Out-Bound 입장에서 현지 여행사를 바라본 입장. 그러나 일부는 국내인이 현지 법인여행사 설립후 국내 연락사무실을 개설 국내 시장을 공략하는 경우가 많음.
Late Cancellation
호텔이나 항공회사가 규정해 놓은 시간보다 늦게 이루어진 예약취소를 뜻한다.
Local Time
표준시(GMT)에 대한 현지지방의 시간을 말하는 것으로 모든 운송기관, 즉 관광여행자의 운송에 참여한 교통기관이 발간하는 시간표에 거재되어 있는 출발시각과 도착시각은 모두 현지 시간으로 기록되어 있다.
MCO (Miscellaneous Charges Order)
특별한 사람에게 교통편이나 여행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여행사 또는 유통업자에게 발행이 허용된 문서.
MCT (Minimum Connecting Time)
연결 항공편 사이의 최소 허용시간.
Meal Plan
하루에 한번 또는 그 이상의 식사를 제공할 것인가에 대한 계획.
Minimum Group Size
단체를 구성하는 최소한의 인원수.

Name to be Axised (NTBA)
예약시 명단을 주지 않았으나 추후에 명단을 통보하겠다는 의미임.
Non Endorsable
변경불가. 항공사가 항공권을 발행할 때 항공권편이나 타 항공회사 항공편으로 변경불가, 다시 말하면 타 항공사 항공기로 탑승할 수 없도록 조치한 것을 말한다. 이러한 제한이 가해지는 항공권을 할인이 된 경우이며, 만약 이를 허용하는 경우에는 발행항공사가 운송항공사에 해당 운항구간에 해당하는 정상요금분을 전액 지급하여야 하므로 큰 손실을 초래하게 된다.
Non Refundable (NON REF)
발권 용어로는 환불을 금지하거나 제약하는 취지의 표시로서 항공권면의 Form of Payment란에 이를 기입한다. 이는 주로 할부방식 등과 같이 환불을 하는 데 제약이 있는 지불수단에 의해서 항공권이 발행되거나 운임 자체가 대폭 할인되어 있어 환불을 금지하고 있는 경우에 사용된다.
Non Stop
무착륙 또는 도중기항하지 않는 항공운항을 말한다. 즉 목적지까지 중간기항지 없이 비행하는 것을 말한다. 이와 같은 운항 스케줄을 가진 특정한 항공편은 특히 비즈니스 여행자가 즐겨 이용하는 경향이 있는데, 이는 시간절약 적인 면에서 장점이 있기 때문이다.
No Record (NOREC)
항공권 상에는 예약 필이라고 기입되어 있으나 탑승지 운송지점에서는 그 여객에 관한 예약기록이 없는 상태를 뜻한다.
Normal Fare (보통운임)
이는 1년간 유효한 운임으로서 특별운임(special fare)에 부수되는 제반 제한적인 조건이 일체 적용되지 않는 운임.
No-Show
항공좌석을 사전에 예약했다가 예약취소 통보없이 탑승하지 않은 상황.
No-Smoking Seat (NSST)
금연석에 여행이 앉아 항공여행을 하려할 때 사용한다. (반대는 Smoking
Seat : SMST)
NTO(National Tourist Office)
국가관광기관.
OAG (Official Airline Guide)
모든 항공사의 리스트를 포함하고 있는 비행스케쥴의 메인 가이드.
Off Season Fare
비수기 운임. 여행비수기에 관광사업체들이 여행자를 확보하기 위해 제공하는 할인운임.
OP(Operator)
수배담당자
Open
항공권 발권상의 용어로 탑승 구간만 정해져 있을 뿐 탑승편과 일시에 관한예약이 행하여져 있지 않은 상태를 말한다.
Open Ticket
예약이 되어 있지 않은 항공권.
Operation
"수배"라 통칭되며 크게 항공수배와 지상수배로 나눌 수 있고, 일반적으로 지상수배를 의미. 지상수배에서 다루는 부분은- 현지 협력사 선정.
- 지상조건 확정(호텔, 식사, 가이드, 관광일정, 차량 등).
- 행사요금 조정.
- 행사 진행시 안내원을 통한 현지의 행사준비 사항점검 및 원활한 행사진행유도.
- 행사 종료후 고객의 고충사항 처리 등.
Option Tour
선택관광. 임의관광으로서 미리 정하지 않고 필요에 따라 정하는 관광.
ORG (Official Railway Exchange)
세계의 철도 시각표.
Organizer
숙박과 지상교통기관을 수배하고 이들 여행부품에 대한 구입비를 사전에 지불함과 동시에 팜플렛 등을 통해서 여행을 선전해서 이를 보고 여행에 참가하려고 하는 고객을 모집하여 이 단체를 왕복 또는 주회 여행으로 기획하고 조직하는 개인(IATA가맹회사 및 IATA대리점을 포함)을 말한다.
Over Booking
호텔이나 항공회사가 예약상태가 이미 만원임에도 불구하고 다소 취소가 있을 것으로 예상하여 그 수용가능한 객실과 좌석수의 예약을 접수하거나 판매하는 것을 말한다.
Package Tour
교통편, 숙박시설 그리고 관광활동 등과 같은 요소들의 조합이 미리 결정된 여행.
Passenger Coupon
국제선 항공권은 최종 백지페이지로서 여행종류 후 또는 교환발행의 경우에도 이것만은 항상 여객에게 남게 된다. 따라서 이것은 여행의 기록으로서도 사용될 수가 있으며, 또 여객의 운송 계약의 증거서류로서도 이용될 수가 있다.
PNR (Passenger Name Record)
승객들의 예약 데이터가 저장된 기록.
PTA (Prepaid Ticket Advice)
항공운임을 지불하는 사람과 실제로 탑승하는 여객이 지리적으로 떨어져 있는 경우에 지불인으로부터 항공요금을 영수한 항공회사가 탑승여객이 있는 지역의 항공회사에다 항공권을 여객에게 넘겨주도록 의뢰하는 통지를 의미한다.
Reconfirm!ation
재확인. 여행자가 항공여행도중 어느 지점에서 72시간 이상 체류할 경우에는 늦어도 항공기 출발 72시간 전까지는 복편 또는 연속편에 대한 좌석예약을 재확인하여야 한다.
Refund
환불. 항공권 구입자에게 사용하지 않은 운송 또는 서비스에 대하여 전체나 부분의 운임, 요율 및 요금을 되돌려 주는 것을 말한다.
Reissue
재발행. 적용운임상에 변경이 있을 경우 또는 여정변경, 항공사 변경, 좌석등급 변경 등의 사유로 차액을 징수하거나 차액을 지불하여 항공권을 재발행하여 주는 행위를 말한다.
REN (Refund / Exchange Notice)
승객이 티켓을 반납하고 돈의 재지불 요구를 대비해서 준비해둔 문서.
Request (RQST)
항공좌석이나 호텔객실 그리고 투어예약을 신청할 때 이렇게 표현한다.
Rooming List
누가 누구와 객실을 공유할 것이라는 것을 나타내는 호텔고객 리스트.
Round Trip
한 곳의 단기 체류지를 가지는 왕복여행.
Routing
노선. 두 지점간 항공사에 의해 인가된 노선상의 비행로를 말한다.
Shuttle Service
예약을 접수하지 않고 근거리 지점간을 빈번하게 왕복하는 열차나 버스 서비스를 말한다.
Safety Box
호텔내에 비치된 귀중품 보관금고.
Sending Service
출, 입국 절차를 대행해주는 서비스.
Special Fare
항공운임 가운데 보통운임 이외의 것을 일반적으로 특별운임이라고 말하고 있지만, 엄격한 의미에서 보면 보통운임과 할인운임 이외의 운임을 특별운임이라고 말한다
Stopover
도중체류. 여객이 항공사의 사전승인을 얻어 출발지와 도착지간의 한 지점에 상당기간(국내선 4시간, 국제선 24시간 이상)동안 의도적으로 여행을 중지하는 행위
STPC
당일 항공편 연결이 안될 때 주 노선 항공사가 승객의 숙식을 제공하는 것.
Surface
항공 일정중에서 중간에 항공을 이용하지 않고 다른 교통수단을 이용하는 경우.
Tariff
공포된 항공요금 또는 항공요금이 포함된 책자.
Through Check in
여행자가 항공기 운항 스케쥴상으로 인해 한 항공편으로는 여정을 종료할 수 없이 여러 항공편을 이용하여야만 목적지에 도착할 수 있는 항공 스케줄에서는 공항에서 수화물 수속시에 여객이 자신의 수화물을 최종목적지에서 찾을 수 있도록 요청할 수 있다.
이때 여객이 수화물을 최종여행 목적지까지 부치는 것을 두루 체크인이라고 한다.
Ticketing Time Limit (TKTL)
항공예약은 마쳤으나 항공권을 구입해야 할 시한을 설정할 때 사용한다.
Transfer
이동. 주로 공항이나 역에서 호텔까지 가는 이동을 뜻하는데, PATA의 정의에서는 이를 여행업자가 어느 도시에 도착 또는 출발하는 경우에 제공되는 서비스, 다시 말하면 여행자를 공항터미널, 부두 또는 철도의 역으로부터 호텔까지의 교통편을 제공하는 등의 서비스를 말한다고 규정하고 있다.
Transit
항공편에 있어 어느 출발지에서 특정 목적지로 이동시 중간의 어느 지점을 경유하여 계속 여행시 경유지에서 잠시 머물렀다 이동하는 상태를 지칭.
Traveller's Check
여행자수표. 해외여행시에 많은 외화를 현금으로 소지하고 다니면 분실하거나 도난을 당할 우려가 많기 때문에 이러한 사고를 막기 위해 사용되는 일종의 수표이다.
Turn Away
빈 객실이 없어 예약하지 않고 찾아온 손님을 거절하는 일. Over Booking을 한 호텔에서 다른 호텔로 예약을 해주는 것.
TWOV (Transit Without visa)
여행객이 경유지국의 비자를 소지하지 않고 경유하려 할 때 적용된다.
Up Gracling
낮은 등급의 좌석에서 높은 등급의 좌석이용으로 옮겨져 좋은 서비스를 받도록 조치하는 것을 의미하는데, 이의 반대 경우가 Down Grade이다.
VAT (Value Added Tax)
몇몇 나라에서 상품과 서비스 구매에 적용하는 외국인 세금.
VOID
항공권이나 여권을 무효화시키는 경우.
Voucher
여행사나 투어 오퍼레이터가 숙박시설, 식사, 관광 또는 다른 여행상품에 대해 미리 지불하기 위해 발행하는 문서
Waiting Close
항공권 예약시 좌석상태가 이미 초과되어 더 이상의 예약이 불가한 상황.

댓글 없음:

댓글 쓰기